미국주식 투자일기: 마이크로스트레티지 Microstrategy
(MSTR)
MicroStrategy Inc.는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회사로 시작했지만, 최근 비트코인을 기업 자산으로 적극 채택하여 비트코인을 상징하는 대표 기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요즘 미국에서 가장 핫한 종목이다.
난 기다리고 기다리다 태어나서 첨으로 한 종목에 거의 8천만 원을 투자했다…… 왠지 이게 100% 수익을 내는데 도지코인 보다도 빠를 것 같다는 생각에서다. 현재 도지코인 투자 금액보다도 높다.
어제 (2024년 11월 22일 한국시간) 공매도의 공격으로 15%정도의 주가가 급락했었는데 이에대해 CEO인 마이클 세일러는 바로 CNBC와 인터뷰에서 마이크로스트레티지를 비트코인 재무기업(Bitcoin Treasury company)이라고 까지 강조하며 현재 비트코인 42조 보유중이며 비트코인의 연평균 수익률이 앞으로 21년간 (2045년 까지) 연평균 29% 씩 성장할 것이고 강조했다.
42조의 빗코인이 매년 평균 29%씩 21년간 성장 한다면 2045년에 빗코인 하나에 약 13 밀리언 달러 이다....... 지금 33만 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전세계 1위) 앞으로도 계속 모은다고 하는 이 마이클이 왜 이렇게 비트코인에 미쳐있는지 보여주는 근거다. 한개에 13 밀리언 달러 라니….
참고로 마이클은 저능아들이나 비트코인을 트레이딩 하는 거라고 하면서 비트코인을 절대 팔지 않는다고 했고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으로 가장 돈을 많이 버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했다.
CNBC |
마이클의 비트코인 비전 인터뷰 요약 및 결론
1.
정부가 비트코인을 금지할 가능성은?
마이클은 초기에 많은 사람들이 정부가 비트코인을 규제하거나 금지할 가능성에 대해 두려워했음을 언급합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완전히 바뀌었다고 강조합니다.
2013년에는 비트코인이
"규제될 수 있느냐"가 의문이었지만, 2014년 IRS(미국 국세청)가 비트코인을 자산(property)으로 지정한 순간부터 제도권에 들어왔다고 봅니다. 이후:
- CME(시카고 상품거래소)가 비트코인 옵션 거래를 시작(2018년),
- Fidelity가 비트코인 디지털 자산을 다루기 시작,
- SEC(증권거래위원회)가 비트코인 관련 ETF를 승인하며 기관 투자를 촉진했습니다.
·
그리고 이제 비트코인을 NO1의 국가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트럼프가 컴백
이 모든 것은 비트코인이 단순히 금지될 자산이 아니라 제도권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증거라는 것입니다.
2.
정부가
비트코인을
대체하려는
시도는?
1933년 금
소유 금지 사례와
유사하게, 정부가 비트코인을
대체 통화(CBDC)로 전환시키려는 시도가
있을 가능성에 대한
질문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마이클은 당시
금의 가치는 달러와
고정(20달러/온스)되어 있었지만, 비트코인은
달러와 고정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합니다.
비트코인은
전 세계적으로 95% 이상이 개인이나
분산된 지갑에 보관되어
있으며, 특정 정부나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글로벌 자산이기
때문에 금과 같은
사례는 일어나기 어렵다고
설명합니다.
3.
비트코인의
투자
매력은?
마이클은
비트코인을 **"사이버 공간의
맨해튼"**에 비유합니다.
맨해튼처럼 희소성과 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잠재력이
있으며, 이는 글로벌
자본 보존의 수단으로
적합하다고 봅니다. 24년 4분기 부터 2045년까지 매년 연평균 29% 성장이라고 이야기 했다.
또한, 비트코인이 **기존 금융
시스템(채권, 주식
등)**과 비교할
때 더욱 안전하고
장기적인 투자처로 자리
잡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규제 명확성과
제도권 투자 증가로
인해 비트코인은 더
많은 기관과 개인의
선택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4.
이더리움(ETH)
및
기타
암호화폐에
대한
생각
마이클은
이더리움을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비트코인을 **"디지털 자산"**으로 구분합니다. 그는
이더리움이 스마트 계약이나
분산 금융(DeFi) 등 여러
응용 프로그램의 기반이
될 수 있지만,
규제적 불확실성과 잦은
기술적 변화 때문에
비트코인만큼 안전하거나 보수적인
투자 옵션이 아니라고
봅니다.
또한, 현재로서는 공기업이나 기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보유하는 것이 규제적으로 불투명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스트래티지
같은
회사는
비트코인
외의
자산에는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합니다.
2024년 500% 수익률 |
5.
정부와
비트코인:
변화하는
시각
최근
미국의 정치적 담론에서도
비트코인이 긍정적으로 다뤄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과거에는
"비트코인을
금지할 것인가?"가 화두였지만,
이제는 "정부가 비트코인을
얼마나 보유해야 하는가?"라는 논의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큰 진전을
보였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RFK(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와 트럼프
전 대통령은 비트코인의
중요성을 인정하며, 미국이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고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정부와 비트코인의
관계가 점점 더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6.
11월
대선이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
이는
비트코인 채택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승자"가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결론
마이클 세일러의 요지는 간단합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서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규제적 명확성과 제도적 채택을 받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는 비트코인을 가장 안전하고 장기적인 투자처로 보며, 앞으로도 그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나에 결론: 이 기업은 아무런 재무적 분석 기술적 분석이 필요없는 기업이다. 그냥 비트코인과 한몸이다. 비트코인의 가격으로 인해 기업의 주가가 결정될 것이다.
앞으로 4년간 트럼프 행정부에서 비트코인의 가치는 우상향 한다고 나도 믿기에 마이클이 비트코인을 모으듯이 어제처럼 큰 조정이 올 때마다 나도 이 기업의 주식을 모아보려 한다. 2025년이 벌써 기대된다….